지난 주말 Rapid7 github를 둘러보다가 재미있는 Metasploit 내 재미있는 pull request를 보았었습니다.
- https://github.com/rapid7/metasploit-framework/pull/9473
Shadow Brokers 가 공개한 Eternal 시리즈에 대한 취약점을 Metasploit Module화하여 여러 윈도우 대상으로 테스팅한 결과입니다. 어떤 내용인지 살펴보도록 하죠.
EternalSynergy / EternalRomance / EternalChampion
우선 Shadow Brokers 사건때 같이 이야기나온 취약점들입니다. SMB Protocol에 관한 문제이며 여러 악성코드, 사건에서도 많이 사용됬었습니다. 현재도 미패치 PC를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을거고 공격이 성공할 가능성도 높은 취약점입니다.
예전에 제가 간단하게 작성한 글과 다른 링크들 추가하니 궁금하시면 참고해주세요.
현재까지 Metasploit 모듈에는 EternalBlue 하나만 추가되어 있었습니다. zerosum0x0이 Metasploit쪽으로 git pull request를 하나 날렸습니다. 이는 위에서 이야기드린 Eternal 시리즈에 대한 Auxiliary 모듈과 Exploit 모듈입니다.
이 모듈들은 MS17-010(EternalSynergy / EternalRomance / EternalChampion)에 대한 테스트/익스플로잇 모듈입니다. EternalBlue 이후 처음으로 추가된 모듈이죠. pull request를 보면서 몇가지 재미있는점이 있었습니다.
재미있는점1 - Exploiting 과정 변화
기존에 EternalBlue Module은 Shellcode를 사용하였지만 이번 Exploit module들은 SMB Connection session을 overwrite 하는 방식으로 바로 admin 권한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그 대신.. 몇가지 리스크가 따르는데요, Powershell 사용하고 FIle이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EternalBlue Module에 비해선 백신 등 보안장비에 탐지될 확률이 높다는 점입니다.
def smb_pwn()
case target.name
when 'Automatic'
if powershell_installed? # 파워쉘 설치여부 확인
print_status('Selecting PowerShell target')
powershell #설치되었다면 파워쉘
else
print_status('Selecting native target')
native_upload #미 설치 시 파일 생성
end
when 'PowerShell'
powershell
when 'Native upload'
native_upload
when 'MOF upload'
mof_upload
end
handler
end
def powershell
ENV['MSF_SERVICENAME'] = datastore['SERVICE_NAME']
command = cmd_psh_payload(payload.encoded, payload_instance.arch.first)
if datastore['PSH::persist'] and not datastore['DisablePayloadHandler']
print_warning("You probably want to DisablePayloadHandler and use exploit/multi/handler with the PSH::persist option")
end
# Execute the powershell command
print_status("Executing the payload...")
begin
psexec(command)
rescue StandardError => exec_command_error
fail_with(Failure::Unknown, "#{peer} - Unable to execute specified command: #{exec_command_error}")
end
end
def native_upload
filename = datastore['SERVICE_FILENAME'] || "#{rand_text_alpha(8)}.exe"
servicename = datastore['SERVICE_NAME'] || rand_text_alpha(8)
serviceencoder = datastore['SERVICE_STUB_ENCODER'] || ''
# Upload the shellcode to a file
print_status("Uploading payload...")
smbshare = datastore['SHARE']
fileprefix = ""
# if SHARE = Users/sasha/ or something like this
if smbshare =~ /.[\\\/]/
subfolder = true
smbshare = datastore['SHARE'].dup
재미있는점2 - SMB Library 변경
commit 내용에 보면 이런 부분이 있습니다.
Changes to MSF Lib The exploit needs a smaller SMB Max Buffer Size than the hard-coded values in the Rex SMB proto client libraries. I exposed this as a public member that defaults to the old value. Existing code should not be broken. Most of the exploit code is in a new mix-in (to be shared for the aux and exploit).
Metasploit에서 제공하는 SMB 모듈의 최소 버퍼 사이즈보다 더 작은 값이 필요해서.. 변경했다고하네요.
굉장히 간단합니다. 기존에는 0xffdf (SMB크기) 값이 코드에 하드코딩되어 들어갔지만 이를 Option 변수로 빼주고 유동적으로 바꿀 수 있게 코드를 수정했습니다.
기존
pkt['Payload'].v['MaxBuff'] = 0xffdf
변경
self.default_max_buffer_size = 0xffdf
pkt['Payload'].v['MaxBuff'] = self.default_max_buffer_size
덕분에 SMB 관련해서 혹시라도 버퍼 조정이 필요하면 직접 손안대고 바꿀 수 있겠네요. Author의 많은 고민이 느껴집니다. 혹시라도 SMB 최소값을 더 내려서 하드코딩 했다면 다른 모듈들에서 문제가 생겼을 수도 있겠네요.
재미있는점3 - 힘을 합쳐 테스팅하다
테스팅 대상이였던 Windows 2000 ~ Windows server 2016 사이에는 굉장히 많은 OS Version들이 존재합니다.
- Windows 2000 SP0 x86
- Windows 2000 Professional SP4 x86
- Windows 2000 Advanced Server SP4 x86
- Windows XP SP0 x86
- Windows XP SP1 x86
- Windows XP SP2 x86
- Windows XP SP3 x86
- Windows XP SP2 x64
- Windows Server 2003 SP0 x86
- Windows Server 2003 SP1 x86
- Windows Server 2003 Enterprise SP 2 x86
- Windows Server 2003 SP1 x64
- Windows Server 2003 R2 SP1 x86
- Windows Server 2003 R2 SP2 x86
- Windows Vista Home Premium x86
- Windows Vista x64
- Windows Server 2008 SP1 x86
- Windows Server 2008 x64
- Windows 7 x86
- Windows 7 Ultimate SP1 x86
- Windows 7 Enterprise SP1 x86
- Windows 7 SP0 x64
- Windows 7 SP1 x64
- Windows Server 2008 R2 x64
- Windows Server 2008 R2 SP1 x64
- Windows 8 x86
- Windows 8 x64
- Windows Server 2012 x64
- Windows 8.1 Enterprise Evaluation 9600 x86
- Windows 8.1 SP1 x86
- Windows 8.1 x64
- Windows 8.1 SP1 x64
- Windows Server 2012 R2 x86
- Windows Server 2012 R2 Standard 9600 x64
- Windows Server 2012 R2 SP1 x64
- Windows 10 Enterprise 10.10240 x86
- Windows 10 Enterprise 10.10240 x64
- Windows 10 10.10586 x86
- Windows 10 10.10586 x64
- Windows Server 2016 10.10586 x64
- Windows 10 10.0.14393 x86
- Windows 10 Enterprise Evaluation 10.14393 x64
- Windows Server 2016 Data Center 10.14393 x64
혼자서 모든 버전의 가상 환경을 만들고 테스트하기는 버겁습니다. 그래서 여건이 되는분들끼리 테스트하고 결과를 공유하더군요. 인상깊었습니다.
Exploiting & Conclusion
이미 공식 패치가 내려가서 따로 코드를 안받아도 적용이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바로 테스트해볼가 했지만.. 오늘은 좀 쉬고, 이번주중으로 작성해서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pull request 하나 보면서 여러가지 생각이 들었습니다. 코드 내용, 사람들끼리 소통보면서 참 재미있었네요.
Reference
- https://github.com/rapid7/metasploit-framework/pull/9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