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omnia - REST API를 쉽게 테스트하자(Simple/Powerfull REST API Client)
오늘 소개해드릴 툴은 REST API 테스팅 툴인 insomnia(https://insomnia.rest) 입니다.
예전에 쓸만하다라는 이야기를 듣고 PC에 깔았었는데, 잊고 지내다가 최근에 다시 깔려고 했던 그런 친구입니다..
Linux, MACOS, Windows 모두 패키지를 지원하지만, 리눅스의 경우 OS에 따라 apt, yum, pacman 등에 없을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에도 apt쪽에 직접적으로 등록된 건 아니라 바로 설치는 안됬었습니다.
(아 없어...)
우선 source.list.d(이게 더 관리하기 좋죠) 나 source.list에 insomnia의 repo address를 넣어줍니다.
그 다음 apt-get update 시 발생할 키 문제를 미리 해결하기 위해 키 파일을 받아 추가해줍니다.
(이건 대부분 외부 패키지들은 동일한 과정이죠)
그럼 이제 패키지 매니저를 통해 insomnia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다른 리눅스 배포판들도 비슷한 형태이니 repo 주소 추가하고 받아주시면 됩니다.(각각 별로 지원, 물론 아치 계열은 잘 모르겠음..)
Ctrl + N(새 요청 생성) 으로 New request를 만들어주면서 하나하나씩 RESP API를 추가해주면 됩니다.
추가로 Preference에 보시면 theme 부터 plugin 등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능 덧붙이면 더더욱 편하겠네요. (그리고 찾아보니 올해 swagger쪽 지원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있네요. 물론 git 유저간 대화)
감사합니다.
예전에 쓸만하다라는 이야기를 듣고 PC에 깔았었는데, 잊고 지내다가 최근에 다시 깔려고 했던 그런 친구입니다..
Install
insomnia는 크로스 플랫폼을 지원하며 예전에 깔았을 떈 MACOS 에서 설치했기 떄문에 그냥 패키지 파일 받아서 설치했었습니다.Linux, MACOS, Windows 모두 패키지를 지원하지만, 리눅스의 경우 OS에 따라 apt, yum, pacman 등에 없을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에도 apt쪽에 직접적으로 등록된 건 아니라 바로 설치는 안됬었습니다.
#> apt-cache search insomnia
libibtk-dev - Insomnia's Basic ToolKit: Development Libraries and Header Files
libibtk0 - Insomnia's Basic ToolKit
(아 없어...)
우선 source.list.d(이게 더 관리하기 좋죠) 나 source.list에 insomnia의 repo address를 넣어줍니다.
#> echo "deb https://dl.bintray.com/getinsomnia/Insomnia /" \
| sudo tee -a /etc/apt/sources.list.d/insomnia.list
그 다음 apt-get update 시 발생할 키 문제를 미리 해결하기 위해 키 파일을 받아 추가해줍니다.
(이건 대부분 외부 패키지들은 동일한 과정이죠)
#> wget --quiet -O - https://insomnia.rest/keys/debian-public.key.asc
#> apt-key add -
그럼 이제 패키지 매니저를 통해 insomnia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 apt-cache search insomnia
libibtk-dev - Insomnia's Basic ToolKit: Development Libraries and Header Files
libibtk0 - Insomnia's Basic ToolKit
insomnia - A simple, beautiful, and free REST API client
다른 리눅스 배포판들도 비슷한 형태이니 repo 주소 추가하고 받아주시면 됩니다.(각각 별로 지원, 물론 아치 계열은 잘 모르겠음..)
Run
insomnia를 실행 후 우선 workspace를 만들어야합니다. 그냥 하나의 단위의 REST API 묶음이라고 보시면 되고 여러 REST API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
묶음 단위인 Workspace를 만들어주고.. |
![]() |
해당 REST API 이름을 지정 |
![]() |
인증 추가도 가능능 |
Ctrl + N(새 요청 생성) 으로 New request를 만들어주면서 하나하나씩 RESP API를 추가해주면 됩니다.
![]() |
Arachni REST API로 테스트해보면 잘 리턴됩니다. (스캔 돌린게 없어서 결과가 없는건 함정) |
![]() |
로컬상에서의 로그로 봐도.. |
추가로 Preference에 보시면 theme 부터 plugin 등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능 덧붙이면 더더욱 편하겠네요. (그리고 찾아보니 올해 swagger쪽 지원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있네요. 물론 git 유저간 대화)
![]() |
Black 테마가 눈에 안아프고 좋아요 :) |
감사합니다.